티스토리 뷰
#. 영어 연습가이드 - HARDCORE #45 - "Don't Be A Dabbler"
https://www.youtube.com/watch?v=kDsmQKWghtE
나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한테서 자주 보이는 것이 있는데, 다양한 것을 조금씩만 경험하고 깊이 있게 경험하는 것은 없다는거예요. 이미 우리가 너무나도 잘 아는 사실 - 거의 모든 것은 처음에는 재밌고 흥미롭죠. 하지만 얼마 가지 않아 흥미를 잃기 시작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가 바로 복잡해지고 어려워지는 바로 그 시점이라는거예요. 근데 우리는 본능적으로 그것이 더 이상 재밌지
않다고만 생각해요. 그리고 우리도 모르게 이미 다른, 더 재밌어 보이는 것을 찾고 마는데 그 새로운 것이 사실 우리에게 더 잘 맞다는 생각에 너무 쉽게 설득되죠. 어디서 많이 들어본 얘기 같지 않아요?
그래서 결국 여기 저기에 조금씩 발만 담그는 식이 되버리는거예요. 생각해봐요, 다양한 식당을 탐방하는데 메인요리를 먹을 때까지 참지 못하고 늘 애피타이저만 먹고 나온다는 것을.. 제 말은, 발만 담가보고 "여기는 나를 위한 것이 없다."라고 하면 아무것도 것도 얻을 것이 없어요.
Something that i see often happening to a lot of people including myself is we get a taste of so many different things but never go in-depth with anything. Here's something we all already know - Most things are fun and interesting in the beginning. But, in a lot of cases, we don't get very far before we start to lose interest. The thing is, this is usually when thing's start to get complicated and difficult. But we instinctively tell ourselves that it's just not fun anymore. And before we even realize it, we've already found something else what we're really into.
Sound familiar? So we end up dabbling in a little bit of this and a little bit of that. Just imagine, exploring many different restaurants but only trying their appetizers and never having the patience to stay long enough to try their main dishes. My point is, we'll never get anywhere or find anything just by dipping our feet and saying. "There's nothing in that water for me."
나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한테서 자주 보이는 것이 있는데, 다양한 것을 조금씩만 경험하고 깊이 있게 경험하는 것은 없다는거예요.
Something that i see often happening to a lot of people including myself is we get a taste of so many different things but never go in-depth with anything.
-
“something that I often see happening to a lot of people…” (often의 위치가 이렇게 앞으로 와도 됩니다)
-
get a taste of something ~에 대해서 조금씩 경험한다 - 겉핥기 식으로 뭔가를 한다
-
so many different things 다양한 것들
-
“..go in depth with..” 뭔가를 깊숙히 파고든다.
-
(with 전치사 대신 in 을 사용해도 됩니다, 어감의 차이가 조금 있을 뿐, 의미의 큰 차이는 없습니다)
이미 우리가 너무나도 잘 아는 사실 - 거의 모든 것은 처음에는 재밌고 흥미롭죠.
Here's something we all already know - Most things are fun and interesting in the beginning.
하지만 얼마 가지 않아 흥미를 잃기 시작하는 경우가 많은데
But, in a lot of cases, we don't get very far before we start to lose interest.
-
we don't get very far 멀리 못간다 - 뭔가를 하는데 있어서 많이 못한다
-
“..start to lose interest..” 대신 “..start losing interest..” 라고 해도 됩니다. 그 이유는 start + ing 는 언제나 start + to V 를 늘 대신할 수 있음. 반면, start + to V는 제한적입니다.(자세한 내용은 다른 강의에서 두 번 정도 설명한 적 있음)
이때가 바로 복잡해지고 어려워지는 바로 그 시점이라는거예요.
The thing is, this is usually when thing's start to get complicated and difficult.
-
The thing is 중요한것은 ~
-
this is usually when ~~ ~ 이때가 바로 그 시점이다
-
“…things start to get complicated and difficult..” (‘things’는 여기서 대명사로 쓰이고 있습니다. 여러가지의 대상을 가리키고 싶은데 불특정한 다수일 때 자주 사용되는 대명사입니다)
근데 우리는 본능적으로 그것이 더 이상 재밌지 않다고만 생각해요.
But we instinctively tell ourselves that it's just not fun anymore.
-
instinctively ɪnˈstɪŋktɪv 본능적으로
그리고 우리도 모르게 이미 다른, 더 재밌어 보이는 것을 찾고 마는데
And before we even realize it, we've already found something else that looks more fun.
-
before we even realize it 우리가 인지하기도 전에 / 알기도 전에 / 우리도 모르게
-
“.. we’ve already found something” 대신 “we find something…”이라고 해도 됩니다 (어감의 차이가 있을 뿐 의미의 차이가 크지는 않습니다)
그 새로운 것이 사실 우리에게 더 잘 맞다는 생각에 너무 쉽게 설득되죠.
And it's so easy to convince ourselves that new thing is what we're really into.
-
it's so easy to something ~ 하기가 매우 쉽다.
-
convince kənˈvɪns 납득시키다, 확신시키다
-
“..it’s so easy to convince ourselves that new thing…” (여기서 ‘that’는 지시대명사 “그거/그것이”로 쓰였습니다 - 관계대명사가 아닙니다. 만약 관계대명사를 생략하지만 않는다면 “it’s so easy to convince ourselves that that new thing…” 이라고 해야 되는데 회화체에서는 이렇게 that가 두 번 연속 나와도 괜찮습니다. 단, 두 번째 ‘that’에 강세를 주어 말해야 합니다)
어디서 많이 들어본 얘기 같지 않아요? 그래서 결국 여기 저기에 조금씩 발만 담그는 식이 되버리는거예요.
Sound familiar? So we end up dabbling in a little bit of this and a little bit of that.
-
“Sound familiar?” 익숙한 소리예요? 익숙하지 않아요? 익숙하게 들리지 않아요?
-
— (Does this/that sound familiar? 에서 의문형 부분을 생략한 경우입니다)
-
a little bit of this and a little bit of that 이것 조금 , 저것 조금
-
Let's add a little bit of this and a little bit of that 이것조금, 저것 조금 넣자.
-
dabble ˈdæbl (손·발 등을 물에 담그고) 첨벙거리다[튀기다]
-
dabble in a little bit of this and a little bit of that 여기에도 발을 담가보고, 저기에도 발을 담가보고
-
end up --ing 결국 ~ 하게된다
생각해봐요, 다양한 식당을 탐방하는데 메인요리를 먹을 때까지 참지 못하고 늘 애피타이저만 먹고 나온다는 것을..
Just imagine, exploring many different restaurants but only trying their appetizers and never having the patience to stay long enough to try their main dishes.
-
Just imagine 상상해봐 - 이런식으로 봐봐
-
never having the patience to do something 무엇무엇을 할 인내심을 가지고있지 않고
제 말은, 발만 담가보고 "여기는 나를 위한 것이 없다."라고 하면 아무것도 것도 얻을 것이 없어요.
My point is, we'll never get anywhere or find anything just by dipping our feet and saying. "There's nothing in that water for me."
-
we'll never get anywhere 그 어떤결과도 못 얻을것이다./ 아무런 목표도 달성하지 못할것이다.
-
dip dɪp 살짝 담그다
'라이브 아카데미 > 라이브 아카데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구동사 - "be caught up in" +외 여러가지 표현 (0) | 2020.05.25 |
---|---|
[ 영어 연습가이드 #046 ] - 꽤 많이, 몇 개는, ---은 몇 개 없다, --중에는 몇 개 있다 (0) | 2020.05.25 |
영어 구동사 - make up (ft. take up, account for, compensate for) (0) | 2020.05.25 |
관계절 응용, 복습 및 추가 표현 - [영어회화] (0) | 2020.05.25 |
영어 대화가이드 #18 - 왜 ~~할 수는 없었던걸까? 그랬으면 ~~ 하지 않아도 됐을텐데." (0) | 2020.05.25 |
- Total
- Today
- Yesterday
- OKay
- I'm sorry
- By The Way
- Tell me about it.
- too.
- Excuse me
- hold on
- Don't worry
- I'm not sure
- please.
- Yeah
- make it
- work out
- What Happened?
- well
- I'm glad to hear that.
- Actually
- Please
- please?
- Right?
- oh
- pick up
- no
- Sure
- Hey
- Oh No
- OK
- Thanks
- Yes
- Sorry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